{앵커:
최근 경남교육청이 학생인권
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발표하자
찬반논의가 불붙고 있습니다
서울 등은 이미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해 시행중이지만 경남은 반대에 부딪혀 두차례나 좌절된 바 있습니다.
강소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학생인권조례를 반대하는 시민단체인
경남연합은 교육청이 인권조례를
재추진한다고 밝히자 반대집회를
열었습니다.
서울 등에서 조례를 시행한
결과 면학분위기를 해치고 교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겁니다.
{김하나/경남학생인권조례반대 경남연합”인권조례를 보면 두발 복장 용모의 자유, 임신 출산의 자유, 집회 시위의 자유, 사상의 자유, 동성애 등을 차별금지조항을 넣고 있다.”}
하지만 인권조례 제정을 촉구하고
나선 단체도 있어
대결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의 논란과는 달리
학교 현장에서는 인권감수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높습니다.
{송호찬/경일고등학교 학생부장”교사로부터 존중받는 아이가 교사의 교권을 침해할까요? 오히려 교권과 아이들의 인권은 함께 성장해야하고 또 그렇게 가야 합니다.”}
학생들도 인권조례가
민주적인 문화의 더 나은 학교를
만들거라고 기대했습니다.
{박재원/경일고 2학년”학생인권조례를 만듦으로써 학생들의 인권이 높아진다고 해서 교권이 침해될 것 같지 않기 때문에…교권 침해하는 학생에 한해서 처벌을 엄중히 한다면 교권도 충분히 잘 보장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경섭/경일고 2학년”고등학교 올라와서 조금 더 자유로워지다보니 학생들이 스스로 더 잘 지키는 것 같고 자유롭게 하는 게 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경남교육청은 다음달 초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를 마련하고
인권조례의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논란속에서도 인권조례에
대한 공감과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당국의 리더십이 필요한
대목입니다.
KNN강소라입니다.

- 강소라 기자
- sol@knn.co.kr
수많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책도 없이 강행한다는 것이 …. 이번 정부 들어서 유독 심한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