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처참해진 피해 현장에서는 복구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나오는 폐기물들로 곳곳에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습니다.
벌써 썩기 시작한 곳에서는 악취와 세균이 들끓고 있어 각종 전염병 발생도 우려됩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처참한 폭우 피해 현장에 소독 연기가 자욱합니다.
물폭탄이 휩쓸고 간지 사흘째,
흙탕물에 빠졌다 무더위에 방치된 물건들에서는 벌써 악취가 진동합니다.
실내 공간은 더 심각합니다
물이 아직도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햇볕도 들지 않아 곳곳에 곰팡이가 생겼습니다.
{김주선/부산 기장군}
폭우가 지나간 곳마다 쓰레기가 넘칩니다.
집안에서 끄집어낸 폐기물들을 실어나르지만 끝이 없어 보입니다.
물이 들이닥쳤던 집안은 흙더미가 어지럽게 쌓였습니다.
청소를 어떻게 해야할지 아직도 난감합니다.
{김덕목/부산 구포동}
이런 상태인 침수지역에서는 전염병 발생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장티푸스나 이질, 콜레라 등 물을 통해 퍼지는 수인성 질환이 집단 발생할 우려가 높습니다.
"각 지역 보건소는 기동방역반을 만들고 침수피해지역에 대해 긴급 방역소독에 나섰습니다."
또 오염된 물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피부질환이 걸릴 위험도 큽니다.
{최창렬/부산시 보건관리과}
침수지역에서는 끓인 물을 마시고, 손 씻기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 박명선 기자
- pms@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