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숨진지 몇개월만에 발견되는 고독사가 급증하고 있지만 대책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가스나 물 사용량이 급감하면 가족과 관청에 연락하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고 하는데 검토해 볼 가치가 있어보입니다.
김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쉰두살 김모씨가 숨진 지 2년만에 발견된 집입니다.
인터넷이나 전기, 수도 사용은 끊긴 지 오래지만 그의 집 앞에는 연체요금 독촉장만 가득했습니다.
숨진 지 6년 지나 발견된 쉰다섯살 김모씨의 집 앞에도 우편물이 가득했습니다.
싸늘한 시신으로 변한지 오래지만 , 독촉장은 2007년부터 시작해 해마다 수북히도 쌓였습니다.
35살 이모 여인의 시신은 강제퇴거를 위해 문을 따고 들어간 법원 집행관에 의해 8개월 만에야 발견됐습니다.
집 값이 밀리고 물 사용이 끊겼는데도 아무도 거주자 상태를 궁금해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박영훈/부산 해운대경찰서 형사1팀)
우리나라보다 고독사 문제가 일찍 시작됐고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된 일본은 다양한 고독사 대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독신자의 가스나 물 이용현황에 변동이 생기면 관계당국이나 업체에서 가족이나 친척, 주민센터에 알려주고 있습니다.
(최송식/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장)
20시간 이상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주민센터로 연락이 가게하고 또 1인가구끼리 묶어 서로 안부를 확인하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고독사는 이제 막 시작단계로 앞으로는 봇물터지 듯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벤치마킹을 통해 일찌감치 사회적 제도 마련을 서둘러야할 이유입니다.
KNN 김상진입니다.

- 김상진 기자
- newstar@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