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김해신공항 불가론이
확산되면서 새해부터는 가덕신공항
재추진 문제가 큰 이슈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전례에서 보듯이
경남과 부산이 분열돼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지적입니다.
추종탁기자입니다.}
{리포트}
김해와 부산의 여론은 일단
“김해신공항은 안된다!”라는
것입니다.
24시간 운영도, 소음문제 해결도,
안전성 확보도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PIP
{최치국/한국정책공헌연구원 원장 “(국토부가) 소음 감소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 또한 장유 지역이 소음 영향권에 포함되기 때문에 대책이 될 수 없습니다.”}
부산의 여론은 당장
가덕신공항 재추진을 향하고
있습니다.
{인터뷰:}-PIP
{박인호/신공항추진범시민운동본부대표”(새해에는) 시민적 대규모의 추동력을 최고위층에 전달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가덕신공항 재추진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당장 국토부가 반대의 전면에
서 있습니다.
대구경북은 신공항 이야기만 나오면
즉각 반발하고 있습니다.
수도권과 공직 사회는 경남권에 무슨
신공항이냐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
{인터뷰:}
{오거돈/부산시장 “이 문제를 국토부 차원이 아니라 총리실 차원에서 논의해 주면 좋겠다는 제안을 해 놓고 있습니다.”}
분명한 사실은 경남과 부산이 분열되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점입니다.
“가덕신공항은 부산만의 힘만으로는 결코 이뤄질 수 없습니다. 경남의 동의와 지지,그리고 적극적인 공동 추진 여부가 가덕신공항 재추진의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남과 부산이 함께 가덕신공항을
재추진할 명분과 실리에 대한 정치적
행정적 비전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KNN 추종탁입니다.

- 추종탁 기자
- chutak@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