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정부가 코레일의 적자를 메우기위해 부산역을 민간에 넘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시민부담이 늘고 안전성은 떨어질 것이 우려되면서 벌써부터 논란이 일고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부산역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철도시설공단과 코레일로나눠진 철도시설 소유권을 일원화해 부산역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방안입니다>
이같은 대상은 부산역을 비롯해 전국 13개 고속철도역사와 함께 동해남부선과 경전선도 포함됩니다.
<부산진~포항 구간인 동해남부선은 지난해 손실이 914억원, 삼랑진~순천구간인 경전선은 손실이 956억을 기록한 것이 이유입니다.>
코레일측은 17조원이 넘는 누적부채와 만성적자로 경영정상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동해남부선은 부산*울산*경남 주민들의 필수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결국 민영화는 시민들은 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차진구/부산 경실련 사무처장}
승객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유병국/전국철도노동조합 부산지방본부}
결국 적자 보전을 시민들에게 떠넘기는 것이어서 향후 정부의 철도 민영화 안을 놓고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 김민욱 기자
- uk@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