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을 습관적으로 삐끗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질환’으로 인식하고 치료하셔야 합니다. 그냥 두다가는 인공관절이 필요한 발목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365입니다.
{리포트}
무릎이나 어깨에 생기는 관절염, 발목도 예외가 아닙니다!
================================
체중을 고스란히 견디는 발목, 혹사당하고 있진 않나요?
================================
[출연자]
(정주선 부산큰병원 병원장 / 현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외래교수, 의학박사)
발목 인대가 기능을 못해서 발목이 흔들리는 것이고 이로 인해서 발목 주변의 근육이나 힘줄이 과긴장 하게 되죠.
그로 인해서 여러 가지 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종아리 통증 혹은 무릎이 아플 수도 있습니다.
================================
한번 접질린 발목,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부상 범위가 커지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
[출연자]
발목이 지속적으로 흔들리면 발목 위쪽 뼈인 경골(정강이뼈)와 아래쪽 뼈인 거골(복사뼈)이 자꾸 충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발목 연골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발목 손상이 악화되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발목 인대가 느슨한 상태에서 아물면 아주 작은 충격에도 손상 받게 됩니다.
================================
[출연자]
발목에 만성 불안정성이 있으면 발목 인대 봉합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발목 인대 봉합술은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발목을 2cm 정도 절개하고 수술용 앵커를 삽입하고 전거비인대(발목 바깥쪽 인대), 관절낭, 하외측지대 등을 봉합해서 발목을 튼튼하게 해줘야 합니다.
================================
발목은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 덕분에 관절염이 흔하게 생기진 않습니다.
대신 증상이 꽤 심해지고 나서야 병원을 찾게 됩니다.
================================
[출연자]
( 정주선 / 부산큰병원 병원장 )
발목 퇴행성관절염 말기가 되면 인공관절수술 혹은 발목유합술(고정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예전에는 발목유합술밖에 없어서 유합술을 하고 나면 10년 정도 경과했을 때 인접 관절에 또다른 퇴행성관절염이 생기게 되는데요.
최근에는 인공 관절 수술이 점점 발달해서 예후가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
발목관절염은 염좌와 골절 같은 외상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굽이 높지 않은 편안한 신발을 신고,
꾸준한 스트레칭도 필요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이아영 구성작가
- yyy@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