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창원의 한 가정집 수도에서 녹조 독성 물질을 만드는 남세균이 나왔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창원시는 지금까지 녹조 독소는 검출된 적이 없다며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황보 람 기자입니다.
[기자]
창원의 한 가정집 주방입니다.
환경단체와 연구팀이 수돗물을 받고, 수도 필터를 수거합니다.
수도 필터에는 녹색 이물질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많다. (많네요.) 이건 진짜 많다. 지금까지 본 것 중에…”}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은 녹색 이물질이 발견된 창원 가정집 2곳의 수도 필터를 분석한 결과, 남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
남세균은 청산가리 100배의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을 생성하는 세균입니다.
{박세은/녹조 검출 의심 가정/”‘설마 이게 녹조겠어?’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분석) 결과를 듣고서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과연 이게 우리 아이들이 먹는 물이고, 제가 쓰는 물인데 안전한 건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가에 대한 의구심이 계속 들고요.”}
환경단체는 지난 여름 깔다구 유충에 이어 녹조 독소 물질을 만드는 남세균까지 검출된 만큼 철저한 원인 규명을 촉구했습니다.
{이덕자/행복중심진해생협 회장/”반드시 원인규명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창원시민의 불안은 더욱 확산될 수밖에 없으며 창원시의 미래는 어두울 것이다.”}
창원시는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현재까지 수돗물에서 조류 독소는 검출된 적이 없고, 환경단체의 검사 방법 또한 공인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또 역학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앞으로 민간협의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대구 가정집 수도꼭지에서도 남세균 검출 주장이 나오는 등 낙동강 녹조의 위협이 먹는 물로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KNN 황보 람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황보람 기자
- lhwangbo@knn.co.kr
해운대거주주민인데요.저희집에서도 몇개월전부터 주방필터가 초록색이 보여요.이것도남세균인건지.. ㅜㅠ
올해만 녹색이 보이는 것이고 그 필터를 아직 가지고 계신다면 검사를 의뢰해보는것도 좋을듯합니다
KNN 보도국입니다.. 부산 051-850-9000으로 전화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