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정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다중이용시설 안전점검을 긴급히 지시했습니다.
부산외대 학생들에게 일어난 참사의 재발을 막자는 취지인데요,
그런데, 기간을 얼마나 줬을까요?
단 하루를 주고 다음날 바로 보고하라고 지시했는데,
부산만 해도 만 천곳이 넘는 다중이용시설이 있는데 하루만에 어떻게 다 점검하라는 것일까요?
전성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안전행정부가 전국 광역시도에 보낸 공문입니다.
긴급 표시가 달렸고 다중이용시설 안전점검에 대한 특별지시라는 제목이 붙었습니다.
점검내용과 이상유무를 확인해 조치사항까지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공문을 보낸 날짜는 지난 17일, 제출기한은 단 하루뒤인 18일입니다.
부산지역의 다중이용시설은 만 천곳이 넘습니다.
안전등급이 낮은 위험시설만해도 256곳인데 하루만에 어떻게 점검하라는 것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부산시는 일선 구군의 인력을 합쳐 50개 팀을 만들어 자체적으로 점검계획을 새로 짠뒤 위험시설 위주로 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김태규 /부산시 안전총괄과 계장}
부산의 다중이용시설가운데 사고가 난 경주의 체육관처럼 샌드위치 패널 구조로 지어진 구조물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남도의 경우 단 하루만에 470곳을 점검했다며 아무 이상이 없다는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어떻게 점검했는지 알수 없는 노릇입니다.
말미를 주지않고 하루만에 보고하라는 중앙정부의 이런 고압적인 자세가 각 자치단체의 형식적인 점검으로 이어져 어쩌면 사고를 부르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높아지는 대목입니다.
KNN 전성호입니다.

- 전성호 기자
- j111@kn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