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월호 참사때 안행부 고위공무원이 현장에서 기념사진을 찍다 물의를 빚은 사건 아직도 생생한데요. 그런데 이번에는 경찰이 사고를 쳤습니다. 밀양 송전탑 움막 강제철거에 투입된 경찰들이 기념사진을 찍어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경찰들 무슨 생각이...
등록일자 : 2014-06-13 19:31
{앵커: 오늘 하루 부산과 경남 곳곳은 다양한 행사는 물론 연휴의 마지막날을 아쉬워하는 가족 단위의 나들객들로 붐볐습니다. 김해에서는 이슬람 창시자인 무함마드의 탄신일을 기리는 보기드문 거리 퍼레이드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
등록일자 : 2015-12-27 19:46
앵커: 진도 여객선 침몰사고를 지켜보는 온 국민의 마음. 마치 내 가족같이 눈물이 나고 분통이 터지고 가슴이 먹먹합니다. 하지만 아직 살아 있을거라는 희망으로 제발 무사히 돌아오라는 간절한 소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
등록일자 : 2014-04-18 21:52
{앵커: 카레 주재료인 강황, 즉 울금을 만병통치약이라며 턱없이 비싸게 팔던 60대가 구속됐는데요, 알고보니 이 사람 계획적으로 인기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뒤 이를 미끼로 시골 노인들에게 접근해 수십억원의 폭리를 취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등록일자 : 2014-10-16 20:55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은 지난 3년 지방이전 공공기관 신규 채용자 2만7천여명 가운데 지역인재 채용 규모는 3천3백여명으로 12% 수준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정부가 권고하는 수준 35%에 한참 밑도는 것이지만 지역별로 보면 그나...
등록일자 : 2017-06-24 07:16
{앵커: 택배 기사를 가장한 강도범들이 설치고 있습니다. 연말연시 택배가 늘어나는 요즘 아무런 확인없이 문을 덜컥 열어줬다간 큰일 날 수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부 37살 김모씨는 그 날만 생각하면 아직도 심장이 떨립니다. ...
등록일자 : 2014-12-22 20:06
{앵커: 얼마전 10대가 아버지에게 둔기를 휘두른 사건이 있었습니다. 아버지의 신고로 아들이 붙잡혔는데 단순한 패륜범죄로만 볼수 없는 사연이 공개되면서 인터넷을 달구고 있습니다. 윤혜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11일 밤 15살 김모군은 자...
등록일자 : 2014-11-14 20:15
{앵커: 이번엔 학교입니다. 삼성서울병원에 다녀 온 창원의 한 중학교 교사가 메르스 의심환자로 격리 될때까지 수업을 했던 것으로 knn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경남도는 이를 쉬쉬해 오다 취재에 나서자 부랴부랴 보도자료를 내면서 비난을 사고 있습니다. ...
등록일자 : 2015-06-08 20:54
부산 경남 소외계층을 후원하고 있는 넥센월석 문화재단이 밀양 오순절 평화의 마을에 사랑의 후원금을 전달했습니다. 강병중 넥센 월석 문화재단 이사장은 오늘(14) 오전 오순절 평화의 마을을 방문해 장애인과 노숙인들을 위로하고 후원금 3천만원을 전달했습니다....
등록일자 : 2015-09-14 21:11
{앵커: KNN은 코로나 19 시대에 우리사회에 파고든 거품들과 그 원인들을 하나씩 들쳐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시장으로 가보겠습니다. 사상 처음 코스피 3천을 넘으며 최대 활황을 누리는 주식시장, 과연 거품일까요 아니면 성장의 단계일까요, 윤혜림 기자가 ...
등록일자 : 2021-02-12 20:11
[앵커] 저희 KNN은 지난 한 해를 돌아보는 기획 보도 시간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올해는 부산경남 단체장들이 나란히 구속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부울경 메가시티와 가덕신공항 등 협력적 관계의 시작을 알렸던 두 단체장의 구속으로 현안 사업들도제대로 마무리하지 못...
등록일자 : 2021-12-30 21:06
{앵커: '1천 295만 그루!' 지난 1988년 처음 부산에서 발생해 지금까지 죽어 나간 소나무재선충 피해 규모입니다. 사시사철 푸르른 소나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무로 그 상징성 만큼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소나무 재선충을 없애려고...
등록일자 : 2021-04-05 19:10
{앵커: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안에 멸망한다", 생태계의 지표가 될 만한 꿀벌의 중요성과 함께 생태계 파괴를 경고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재선충 피해를 막기 위해 막대한 살충제가 뿌려지면서 꿀벌이 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저희 KNN이 방제의 부작용을 다...
등록일자 : 2021-04-06 20:41
{앵커: KNN은 산림보호를 위해 실시하는 방제 작업이 불러올 수 있는 역작용에 대해 연속으로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재앙이라고 불리우는 소나무재선충 방제를 위해 해마다 1천억 가까운 예산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피해 나무는 줄고 있는데 예산은 늘고 있다고 합니...
등록일자 : 2021-04-10 19:22
{앵커:저희 KNN에서는 산림보호를 위한 대규모 방제작업의 부작용에 대해서 연속으로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소나무 재선충을 막으려고 대규모 인력과 예산, 방제약을 투입해 방제작업을 하고 있지만 한반도 기후변화로 소나무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소나무재...
등록일자 : 2021-04-11 18:49
Added by KNN관리자
13456 Views0 Comments0 Likes1 일전
201 Views0 Comments0 Likes2 일전
435 Views0 Comments0 Likes6 일전
2618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1385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1883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719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730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842 Views0 Comments0 Likes1 주전
547 Views0 Comments0 Likes1 달전
Added by 황보 람
Added by 김 민욱
Added by 조 진욱
Added by 이 태훈
Added by 김 건형
Added by 최 한솔
Added by 정 기형
Added by 김 상진
Added by 조 다영
Added by 강 소라
Added by 길 재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