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R 구현 "스마트 콘택트렌즈" 기술 개발
김건형
입력 : 2023.02.06 20:57
조회수 : 266
0
0
<앵커>
눈에 콘택트렌즈를 끼면 다양한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는 장면, SF영화 등에서 보신 적 있으실텐데요.
머지 않아 현실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경남에 있는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이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눈에 끼자 생생한 게임이 눈 앞에 펼쳐집니다.
4년전 인기리에 방영됐던 증강현실 게임을 소재로 한 판타지 드라마의 한 장면입니다.
{'(현빈)렌즈는 어때? /(조현철)아직 괜찮아요. 많이 뜨거우세요?/(현빈)조금..'}
달리는 차량 속 운전자 시선입니다.
푸른색의 화살표와 글자가 바뀌며 주행 방향을 안내합니다.
인공안구에 착용된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내비게이션이 나타나는 겁니다.
한국전기연구원 설승권 박사팀이 개발한 3D 인쇄전자기술의 성과입니다.
전기 자극에 반응하는 특수잉크를 개발해 기존 전기도금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설승권/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장/'입체면에도 아주 미세한 패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배선부터 이번에 저희가 구현한 디스플레이까지 다양한 전자 소자를 그려낼 수 있다. 그런 기술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 눈에 끼는 스마트 렌즈에 구현되는 기술인만큼 아주 정밀하고도 세밀한 패턴이 입혀지는게 핵심기술입니다.
지름 2cm도 안되는 1페니 동전 옆에 아주 미세한 점들이 보이는데요,
확대를 해보면 숭례문과 에펠탑 등이 그려져 있습니다.'
AR기기는 물론 바이오센서 분야의 소형화와 범용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적 학술지의 표지논문으로 실릴 만큼 학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는 연구성과입니다.
{설승권/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장/'스마트 소재부터 3D 프린팅 공정기술과 이것들이 탑재된 KERI(한국전기연구원)만의 3D 프린터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수요업체를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눈에 콘택트렌즈를 끼면 다양한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는 장면, SF영화 등에서 보신 적 있으실텐데요.
머지 않아 현실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경남에 있는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이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눈에 끼자 생생한 게임이 눈 앞에 펼쳐집니다.
4년전 인기리에 방영됐던 증강현실 게임을 소재로 한 판타지 드라마의 한 장면입니다.
{'(현빈)렌즈는 어때? /(조현철)아직 괜찮아요. 많이 뜨거우세요?/(현빈)조금..'}
달리는 차량 속 운전자 시선입니다.
푸른색의 화살표와 글자가 바뀌며 주행 방향을 안내합니다.
인공안구에 착용된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내비게이션이 나타나는 겁니다.
한국전기연구원 설승권 박사팀이 개발한 3D 인쇄전자기술의 성과입니다.
전기 자극에 반응하는 특수잉크를 개발해 기존 전기도금 방식의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설승권/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장/'입체면에도 아주 미세한 패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배선부터 이번에 저희가 구현한 디스플레이까지 다양한 전자 소자를 그려낼 수 있다. 그런 기술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람 눈에 끼는 스마트 렌즈에 구현되는 기술인만큼 아주 정밀하고도 세밀한 패턴이 입혀지는게 핵심기술입니다.
지름 2cm도 안되는 1페니 동전 옆에 아주 미세한 점들이 보이는데요,
확대를 해보면 숭례문과 에펠탑 등이 그려져 있습니다.'
AR기기는 물론 바이오센서 분야의 소형화와 범용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적 학술지의 표지논문으로 실릴 만큼 학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는 연구성과입니다.
{설승권/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3D프린팅 연구팀장/'스마트 소재부터 3D 프린팅 공정기술과 이것들이 탑재된 KERI(한국전기연구원)만의 3D 프린터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수요업체를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HMM 이어 SK해운도 부산행? 실현 가능성은?2025.05.16
-
오시리아 꼼수 땅투기... 잘못 없다는 부산도시공사2025.05.16
-
고물가 시대 가성비 '리퍼브 시장' 급성장2025.05.16
-
바다에 유골 뿌리는 '해양장' 주목2025.05.16
-
산업은행 대신 '해양수산부 이전' 공약 공방2025.05.15
-
'예측불가' 호우...부산경남도 긴급재난문자 도입2025.05.15
-
스마트 굴 양식 '개체굴' 수확 본격화2025.05.15
-
신속함에 깊이를 더했다...'KNN 보도 30년'2025.05.15
-
부산경남 찾은 대선주자 '지역 맞춤 공약' 경쟁2025.05.14
-
연예인*업종 가리지 않는 무차별 피싱사기 기승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