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형 산불 위험, 농촌 소각 주의
김민욱
입력 : 2023.03.16 19:11
조회수 : 937
0
0
<앵커>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수확 뒤 나오는 농업 부산물을 함부로 태우다 큰 산불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합천, 하동 등에서 봄철 대형 산불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봄철 건조한 날씨 속 강한 바람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밀양, 합천 등 경남 7개 시*군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상황,
국립산림과학원도 대형 산불 위험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부산*경남 산불위험지수는 각각 81과 82로 경계 단계입니다.
산림과학원 실험 결과 초속 6미터의 바람이 불면 최대 산불확산 속도가 26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권춘근/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박사/"바람이 불 때는 화염이 지표면에 눕게 되거든요. 눕게 되면서 복사열과 전도열이 앞으로 전달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최근 10년 동안 한 해 평균 535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65%가 봄철에 집중됐습니다.
발생원인은 등산객 실화가 가장 많았고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각 지자체에서는 수확 뒤 발생하는 잔가지와 볏짚 등을 소각하지 말고 파쇄할 것을 당부합니다.
파쇄기는 무료로 대여가 가능합니다.
{장남창/의령군 가례면/"요새는 기계 갖다 놓고 하니까 아무래도 수월하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산불 조심도 되고."}
산불감시원들도 마을회관, 경로당을 찾아다니며 산불 예방 활동에 나섰습니다.
{김용권/산불기동감시원/"여기 밭두렁*논두렁 진짜 조심해야 됩니다. 얼마 전에 대형 불이 나서..."}
농업 부산물을 불법으로 소각하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도 부과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산불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수확 뒤 나오는 농업 부산물을 함부로 태우다 큰 산불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남 합천, 하동 등에서 봄철 대형 산불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봄철 건조한 날씨 속 강한 바람을 타고 불길이 확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밀양, 합천 등 경남 7개 시*군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상황,
국립산림과학원도 대형 산불 위험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부산*경남 산불위험지수는 각각 81과 82로 경계 단계입니다.
산림과학원 실험 결과 초속 6미터의 바람이 불면 최대 산불확산 속도가 26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권춘근/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박사/"바람이 불 때는 화염이 지표면에 눕게 되거든요. 눕게 되면서 복사열과 전도열이 앞으로 전달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최근 10년 동안 한 해 평균 535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65%가 봄철에 집중됐습니다.
발생원인은 등산객 실화가 가장 많았고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각 지자체에서는 수확 뒤 발생하는 잔가지와 볏짚 등을 소각하지 말고 파쇄할 것을 당부합니다.
파쇄기는 무료로 대여가 가능합니다.
{장남창/의령군 가례면/"요새는 기계 갖다 놓고 하니까 아무래도 수월하고 그렇습니다. 그리고 산불 조심도 되고."}
산불감시원들도 마을회관, 경로당을 찾아다니며 산불 예방 활동에 나섰습니다.
{김용권/산불기동감시원/"여기 밭두렁*논두렁 진짜 조심해야 됩니다. 얼마 전에 대형 불이 나서..."}
농업 부산물을 불법으로 소각하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도 부과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수부 부산청사 결정..기대와 전망2025.07.11
-
폐업 검토 거제씨월드, 제2의 삼정더파크 되나2025.07.11
-
[현장]장구벌레 우글우글 하수관...방역작업 구슬땀2025.07.11
-
가덕신공항 설계비 600억원, 현대건설 '나몰라라'에 지역업체 피해2025.07.11
-
13년만의 3위 롯데, 반등 노리는 NC2025.07.11
-
[현장]폭염*짧은 장마에 낙동강 녹조 비상2025.07.10
-
동남권 교통망 대폭 확충, 도약 기대2025.07.10
-
[단독]땅꺼짐 부르는 대형공사장 '공동'...부산 전국 최다2025.07.10
-
잇따른 화재 참사 막아라 '멀티탭 화재' 위험성은?2025.07.10
-
'고사위기' 지역대학과 산업의 생존 전략은?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