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부산경남

소싸움, 전통이냐? 동물 학대냐? 찬반 갈등

소싸움, 전통이냐? 동물 학대냐? 찬반 갈등

<앵커> 지금 보시는 이 화면 소싸움 영상입니다. 동물학대 논란에 대회 명칭도 소싸움대회가 아닌 소힘겨루기대회로 열리고 있는데요, 소싸움 폐지 법안이 발의되면서 전통이냐 동물학대냐를 두고 논란에 다시 불이 붙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육중한 싸움소 두 마리가 뿔을 맞대며 힘겨루기를 시작합니다. 소힘겨루기대회는 소싸움의 발원지로 알려진 진주와 창원, 경북 청도 등에서 많이 열리고 있습니다. 전국 싸움소 육성 농가도 전국 320여곳 가운데 경남이 170여곳으로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소들이 다치거나, 계류장에 묶여 스트레스를 받는 등 동물학대 논란도 계속되면서 전통 소싸움법 폐지 법안까지 발의됐습니다. {손솔/진보당 국회의원 "고통의 역사는 멈추고 생명 존중의 시대로 나아가겠습니다."} 시민단체는 이미 전북 정읍 등 다른 지자체에서는 소힘겨루기대회 예산 지원을 중단하고 있다며 진주시도 이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백인식 진주같이대표/"(매년 진주시) 6억 정도 되는 예산을 다른데 쓴다면 동물 복지에 쓸 수 있는 좋은 일이 많다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시민단체 기자회견 직후, 진주소힘겨루기협회가 반박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한기웅/한우협회 부산경남지회장/"전통적인 우리 문화 유산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이끌어 온 것입니다.} 협회는 소에게 억지로 싸움을 붙이지 않고 예전처럼 개소주나 뱀탕을 먹이지도 않는 등 동물 복지 기준을 두고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퍼:박성권/진주소힘겨루기협회장/"일방적 폐지가 아니라 대화와 협력 속에서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전통이냐? 동물학대냐? 소싸움법 폐지 법안 발의를 계기로 소힘겨루기대회 찬반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박언국
2025.11.20
등록엑스포 유치로 공약 바꿀때부터 반대 쏟아져

등록엑스포 유치로 공약 바꿀때부터 반대 쏟아져

<앵커> 요즘 등록엑스포 유치 추진에 경남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해양 스포츠 대회같은 국제 행사 유치를 추진하던 경남도가 등록엑스포 유치로 바꾼 건 올해 중순입니다. 공약 변경에 따라 조정 심의를 받았는데, 당시에도 반대가 적지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다시 입장을 바꿔 부산, 전남과 엑스포 공동유치를 추진하면서 기대보다 우려가 더 많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도는 민선8기 공약으로 경남 거제일대에 해양 스포츠대회 같은 국제행사 유치를 추진해왔습니다. "그런데 지방선거를 1년여 앞둔 지난 6월 등록엑스포 유치로 방향을 틀고 도민공약평가단에 안건으로 올렸습니다." 공약을 조정할 경우 도민들에게 적정성 심의를 받도록 한 도민평가단 제도에 따라, 관련 절차를 밟았습니다. 한달동안 진행된 심의에서, 경남도는 등록엑스포 유치로 남해안을 제2 경제권으로 육성하겠다고 설득했습니다. {심우진/경남도 관광정책과장 "4조원 규모의 인프라 시설이 확충이 되고 경남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에 공약을 변경하여 추진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1,2차 분임별 찬반 토의에서 반대표가 더 많이 나왔습니다. 전체 평가단 35명이 참여한 최종 투표에서도 찬성이 19표로 많긴 했지만 반대가 16표나 쏟아졌습니다. 필요성을 느낄 수 없다거나 가능성이 높지 않다 등의 우려를 밝힌 겁니다. 그런데 경남도는 최근 부산, 전남과 공동 유치로 다시 입장을 바꿨습니다. 구상안이 마련되면 공론화에 나설텐데 도민평가단 반응에서 보듯 도민 지지를 얻을지부터 미지수입니다. {김준형/경남광장연대 집행위원장 "국가에서 드는 예산이나 이런 것들이 과연 얼마나 도민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을 해야 하고 면밀히 살피자고 요구할 생각입니다."} 벌써부터 시민사회와 정치권에서 선거용 이벤트라는 반발이 터져나오면서, 추진에 가시밭길이 예상됩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영상취재:안명환 영상편집 김범준
2025.11.20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