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부산경남

부경남 영하권으로...맹추위 부산경남 덮쳤다

부경남 영하권으로...맹추위 부산경남 덮쳤다

<앵커> 오늘 아침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놀란 분들 많으실겁니다. 부산*경남의 기온이 어제보다 최고 10도 이상 뚝 떨어지면서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였는데요. 이번 추위는 모레까지 이어진다고 합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일장날, 전통시장은 때아닌 한파에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두터운 패딩에 털모자, 귀마개까지 올가을 처음 등장했습니다. {김양희/시장 상인/"얼어죽지 않으려고 세 겹 입었습니다.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니까 손님도 안 나오고 우리도 춥고 마음도 춥고 그렇습니다.} 장갑을 끼고도 얼어붙은 손을 틈틈이 화롯불에 녹여도 봅니다. {김수자/시장 상인/오늘은 하루종일 (화로를) 피울거에요. 추워서 새벽에 일찍 나오니까. 많이 춥지. 오늘은 발이 시려운데.} 출근길 시민들 옷차림에서도 성큼 다가온 추위가 느껴집니다. 모자와 목도리로 얼굴을 감싸고 차가와진 손은 핫팩으로 녹여야합니다. {김수지/부산 양정동/"몸에 찬 공기가 드는 게 싫어서 모자랑 머리를 다 싸매고 나왔습니다. 핫팩도 좀 들고 다니려고..."} {장준요/부산 연산동/"체감온도 자체가 어제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 것 같았습니다. 보일러를 가동중이고, 집에서 내복도 좀 껴입고..."} "부산과 경남 대부분 지역의 아침기온이 0도 안팎으로 떨어지며 올 가을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였습니다." 오늘(18) 아침 의령은 영하 3도까지 떨어졌으며 밀양진주는 0도, 부산과 창원은 영상 3도까지 내려갔습니다. 부산 중구 등 12개구는 어제보다 10도이상 떨어지면서 올 가을 첫 한파주의보도 발효됐습니다. {이상경/부산지방기상청 예보과/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북쪽에서 찬 공기가 유입되고 강한 바람이 불면서, 추위는 모레(20) 오전까지 지속되겠으며 20일 낮부터는 기온이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하겠습니다.} 기상청은 모레(20)까지 큰 일교차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건강관리와 농작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안명환
2025.11.18
수돗물서 '마이크로시스틴' ? 양산시 수돗물 '불안'

수돗물서 '마이크로시스틴' ? 양산시 수돗물 '불안'

<앵커> 경남 양산의 한 가정집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돼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양산시는 수돗물이 아니라 오염된 필터에서 나온 것이라며 반박했지만 시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양산시 동면의 한 가정집입니다. 수돗물이 나오는 개수대 수도꼭지의 필터가 온통 녹색으로 변했습니다. 제보를 받은 환경단체가 필터를 경북대 녹조 분석 연구실에 의뢰했습니다. 그 결과 필터에서 녹조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의 DNA가 나왔습니다. 양산시는 정수 과정에서 이미 죽은마이크로시스틴의 DNA로 독성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환경단체는 다시 독성 분석을 의뢰했고 최근 0.1나노그램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국내 기준의 100만분의 1수준이지만 먹는물에서 또 독소가 나온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박재우/양산환경운동연합 상임대표/"우리 수돗물은 아무런 독성 물질이 없어야 되는 것이 맞습니다. 0.1 나노그램의 독성이 발견됐다는 이야기는 우리가 먹는물에서 건강에 치명적인 독성이 발견됐다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이 양산시민들이 크게 우려하고 있는..."} 하지만 양산시는 여전히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필터에서 나온 독소를 마치 수돗물에서 검출된 것처럼 왜곡했다는 것입니다. {윤민식/양산시 수질검사팀장/"필터가 햇빛을 받으면 윗부분에 이렇게 조류가 자체 생성할 수 있으니깐...해당 민원인 집과 민원인 윗집 아래집, 다른 동별, 원수와 정수 총 10개소에서 다 (독성) 불검출이 나왔습니다."} 2022년 대구 가정집에서 녹조 독소가 검출됐지만 역시 필터 오염으로 결론이 난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양산시는 매주 정수 검사를 진행하는만큼 안심하라는 입장이지만 환경단체 측은 직무유기 등으로 양산시를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혀 논란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입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2025.11.18
잇따르는 벌목 사고....안전 지도 점검 사각지대?

잇따르는 벌목 사고....안전 지도 점검 사각지대?

<앵커> 최근 경남에서 벌목 작업을 하다 다치거나 목숨을 잃는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건설 현장에 비해 안전관리가 허술하다보니 사각지대로 방치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벌목작업이 벌어지던 경남 함양군의 한 야산입니다. 지난 16일 이곳에서 작업을 하던 60대 A씨가 전기톱에 베여 숨졌습니다. 경찰은 A씨가 벌목한 소나무를 운반하기 쉽게 토막을 내는 작업을 하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A씨는 혼자서 작업을 하다 사고를 당했는데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여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한달전에는 밀양에서 벌목을 하던 70대가 나무에 깔려 숨졌습니다. 두달전에는 김해에서 벌목을 하던 50대가 굴러온 바위에 부딪혀 숨졌습니다. 최근 소나무 재선충 방제나 새로운 수종으로 갱신하는 조림사업 등이 늘면서 벌목사고의 위험도 커지고있습니다 {이지훈/경남 함양소방서 119구조대/"체인톱 사용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킥백 현상이 있습니다. 체인톱 앞날 부분이 물체에 닿는 순간 갑자기 사용자 쪽으로 튕겨져 나오는 현상으로 위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벌목 노동자 중에는 고령자나 전기톱 작업 등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들도 많아 안전사고에 취약합니다. {윤상갑 산림기술사/"벌목 사업을 할때 법인들이 (산림)기능자를 고용하거든요. 기능사 자격증을 딸 때 톱 교육을 하는데 그게 2주 정도 교육을 해요. 그걸로 끝납니다."} 특히 영세 업체들 현장은 혼자서 벌목 작업을 하는 등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실상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2025.11.18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