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최혁규기자
최혁규  기자
""

부모 없는 집에서 잇단 비극..대책 마련 나선다

<앵커> 최근 부산에서 집에 혼자 있던 아이들이 화재로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부모가 집을 비워야했던 돌봄공백 상태였던 점과 스프링클러가 없었던 점에서 판박이인데요. 잇따른 비극에 정부와 지자체가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만 8살, 6살 자매가 숨진 채 발견된 아파트입니다. 집 근처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부모가 잠깐 외출한 사이, 화마는 어린 두 딸의 목숨을 앗아갔습니다. 지난 달 24일 발생한 개금동 아파트 화재의 판박이 사고가 열흘도 안돼 또 발생한 겁니다. "두 사건 모두 집안에 스프링클러는 없었고, 부모가 집에 없는 돌봄공백 상태에서 발생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연이은 비극에 정부와 지자체는, 사고 방지를 위한 대책마련에 나섰습니다." 대통령실은 관계기관에 종합대책 마련을 지시했습니다. {강유정/대통령실 대변인/"어제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국무조정실장에게 진정성있는 후속조치를 당부했습니다."} 행안부는 재난안전관리 본부장을 현장에 급파해 관계기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었습니다. 스프링클러가 설치 안 된 구축아파트화재 방지대책, 심야 돌봄공백 문제에 대한 포괄적 논의가 오갔습니다. {김광용/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추후)스프링클러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구조적인 대책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서울에서 관계부처가 논의하고 있는데, 지금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대책이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산 교육청은 화재발생에 따른 행동 매뉴얼을 만들어 관내 학교에 배포하고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대피교육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또 여기서도 무엇을 이용하지 말라고 했습니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안됩니다."} 부산시도 아동돌봄 비용 지원 규모와 대상을 보다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2025.07.04

푹푹찌는 여름밤...부산 열대야

<앵커> 오늘(2) 부산경남 대부분 지역에 폭염경보가 발효되며 낮동안 무더운 날씨가 이어졌습니다. 낮 동안 달아오른 열기는 밤에도 식지 않아 열대야까지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는데요,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최혁규 기자, 지금도 많이 덥습니까? <기자> "네, 한낮의 무더위는 밤이 됐지만 쉽게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그나마 한 번씩 불어오는 바닷바람을 맞으며 더위를 잊으려는 시민들이 이곳을 찾고 있습니다." 제 뒤로는 최근 SNS상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해바라기 명소가 보이는데요, 모두 만오천본에 달하는 7종류의 해바라기가 바닷바람에 물결치듯 출렁이며 산책나온 시민들의 무더위를 달래주는 듯 합니다. {김세화 이상심 경기도 시흥 전라도 광양/해바리기 많이 핀걸 기대하고 왔는데 예쁘게 피었을 때 다시 오고 싶습니다. } 오늘(2) 부산 지역 최고기온은 금정구 36.2도, 경남은 밀양이 38.3도로 정말 무더운 하루였습니다. 어젯밤에는 부산을 비롯해 창원, 진주 등 경남 9개 시군에 열대야 현상까지 나타났는데요, "열대야는 밤 최저기온이 25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현상으로, 기온이 25도가 넘으면 숙면을 취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부산은 기상관측 이래 111년만에 가장 이른 첫 열대야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보다 19일이나 앞당겨진 건데, 올 여름이 그 어느 때보다 무더울 것이란 징조로 읽힙니다. {정혜진 / 경기도 안양 너무 더워서 씻고 나왔네요 심각하게 더운 것 같아요. 원래 이렇게 땀이 많이 안 나는데....} 이제 본격적인 무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만큼, 온열질환 예방에 각별히 주의하셔야 하시겠습니다. 지금까지 부산 광안리해수욕장에서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김지영
2025.07.02

<현장>멀쩡한 물고기가 죽어가요...'유령어업'을 아십니까?

<앵커> 시청자 여러분, 혹시 '유령어업'이라는 말을 아십니까? 버려진 폐어구에 물고기들이 걸려죽는 것을 일컫는 말인데요. 연간 피해가 무려 4천억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폐어구 수거현장에 최혁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운반선 위가 바닷속에서 수거해온 쓰레기로 가득 찼습니다. 그물이 마구 뒤엉켜 집게로 제대로 들어올리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물을 털어보았습니다. 안에 있던 꽃게와 뼈만 남은 물고기 사체들이 우수수 바닥에 떨어집니다. 버려진 그물에 해양생물체들이 걸려 죽은, 유령어업 현상입니다. 이 유령어업 탓에 수산업계 어획량의 10%가 줄어들고, 매년 4천억원의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주해군/여수트롤 생산자협회장/"삼분의 일도 안됩니다. 현재 잡히고 있는 것이. 그정도 어획이 줄어들었다는 거죠."} 대형기선 저인망수협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들입니다. "이번 작업은 일주일 동안 진행됐는데,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60톤에 달합니다. 쓰레기 가운데 80% 가량이 물고기를 잡는데 쓰이는 자망그물입니다." 그물이 찢어지면 수리하는 것보다 싼 중국산 그물을 사는 게 낫다보니 손상되면 바다에 버리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매년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 5만톤 가운데 버려진 폐그물 은 3.8만톤에 달합니다. 폐그물이 선박 추진기에 걸리는 사고도 연평균 370여건이 넘습니다." 어부보증금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자망그물은 내년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현재 그물망 투기를 막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임정훈/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구조상 헌 어구를 가져와서 반납하는 것보다 새 어구를 사서 쓰는게 저렴합니다. 그래서 이 어구가 폐어구가 되면 물에 그냥 버리는 거죠."} 수산업계는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생분해성 그물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영상편집
2025.06.30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