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하영광기자
하영광  기자
""

제2의 반얀트리 화재 시한폭탄…구멍 뚫린 사용승인

{앵커:부산의 한 생활형 숙박시설이 사용승인을 받고도 9개월 넘게 공사를 마무리짓지않고 있어 수분양자들이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 KNN이 단독으로 전해드렸습니다.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본 결과 소방시설은 제대로 갖춰져있지도 않았는데요, 이런 현장이 어떻게 사용승인을 받을 수 있었을까요?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퍼:00 생활형숙박시설/부산 남포동} 지난해 9월 사용승인을 받고도 여전히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생활형 숙박시설입니다. 도저히 입실이 불가능한데 어떻게 사용승인을 받았을까. {CG:} "취재진은 당시 소방당국이 발급한 완공검사증명서를 입수했습니다. 화재감지기와 소화기, 완강기 등이 갖춰져있다고 적혀있습니다." {수퍼:엉터리 소방 점검...위반이 더 많아} 하지만 내부를 직접 들여다본 결과, 화재 탐지기는 설치조차 되지 않았고 소화기 역시 찾아볼 수도 없습니다. 완강기도 고작 지지대만 설치돼있는 무용지물입니다. 공사 중에 행여 불이라도 나면 대처가 불가능한 상황, 엉터리 완공검사를 한 셈입니다. {인터뷰:} {수퍼:생활형숙박시설 수분양자/"준공승인 자체가 서류상으로, 형식적으로 하는 절차로 아주 사소한 문제로 간과되고 있습니다. 감리자의 서류 싸인 하나만 믿고 모두 통과를 시켜주는 이 관공서의 만행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관할 지자체와 소방의 부실 사용승인으로 인해 수분양자의 피해 뿐만 아니라 제 2의 반얀트리 참사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반얀트리 화재 참사 당시에도 소방 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33명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현장확인 없이 감리의 서류만 보고 사용승인을 내줬던 당시의 문제점이 이 현장에서도 고스란히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류상일/동의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직접 현장을 가서 소방시설을 점검하고 준공 여부가 결정되도록 어떤 제도의 보완이라든가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소방 감리를 하는 업체가 (사업) 시행자의 어떤 눈치를 보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떻게 허술한 사용승인이 날 수 있던 건지 관할 구청과 소방당국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보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황태철
2025.07.03

[단독] 사용승인 난지 9개월인데 아직 '공사중'...분양자 눈물

<앵커> 사용승인을 받고도 9개월 동안이나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생활형숙박시설이 있습니다. 투자했던 수분양자들은 건물에 입실해보지도 못한 채, 은행이자만 내다가 집이 가압류되기까지 했다는데요. 대체 어찌된 상황인지 하영광 기자가 현장 둘러봤습니다. <기자> 부산 원도심에 위치한 360여 세대 규모의 생활형 숙박시설입니다. 지난해 9월에 사용승인을 받았지만 수분양자들은 건물 안에 제대로 들어가보지도 못했습니다. 사용승인이 무색하게 공사가 진행중이라는게 수분양자들의 말. 취재진이 건물 안에 들어가 봤습니다. 수분양자들 말처럼 내부에는 건축자재가 잔뜩 쌓여있고, 공사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천장에는 구멍이 송송 뚫려있고 벽에는 전선이 대롱대롱 튀어나와 있습니다. "문제의 생활형숙박시설입니다. 준공된 지 9개월이 지났는데, 인덕션 조차 만들어지지 않아 이렇게 손이 뚫리고 있는데요. 벽지도 제대로 발려있지 않고, 전기 배선 시설은 이렇게 완성되지도 않았습니다. 심지어 복층의 경우 계단과 벽은 제대로 만들어지지도 않았습니다." 수분양자들은 계약 해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생활형숙박시설 분양자/"저희 계약서에 보면 3개월이 지체되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사항이 있습니다. 그런데 건설사 측은 (지난해) 9월 달에 준공승인이 났다, 아무 문제가 없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잔금을 치르라고 독촉하고 (있습니다.)"} 들어가보지도 못하는데 대출 이자만 자꾸 불어납니다. 원래 살던 집까지 잃을 위기에 처했다는 분양자도 있습니다. {생활형숙박시설 분양자/"완공이 되지도 않은 것을 (은행에서) 중도금을 갚으라고 하니까 저희는 사실 생활을 할 수가 없고, 집에 가압류도 들어와있기 때문에 (힘듭니다.) 제가 지금 아기도 준비를 하고 있는데 당장 아기와 와이프가 살 보금자리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건설사 측은 언제 입실이 가능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관할 중구청은 민사소송으로 해결할 일이라며, 현재로서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2025.07.02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