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이태훈기자
이태훈  기자
""

남해 체류형 관광 기대

{앵커: 경남 남해군에 체류형 관광인프라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존 남해 만의 명물에 새로운 볼거리들까지 들어설 예정이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이태훈 기자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남해군 미조면에 새로 들어선 고급 숙박시설입니다. 계단식 논인 남해 다랑논을 본떠 만들었는데 호텔 등 450여 객실과 수영장, 사계절 아이스링크까지 갖췄습니다. {장희종 조정이 강복춘 김원근/경남 남해군/"경관도 아름답고요. 진짜 동남아에서도 저런 전망을 찾아볼 수 없더라고요."} 연간 50만명 이상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상주, 미조면의 아름다운 해변과 금산과 어우러져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오는 2028년이면, 건너 창선면에도 5성급 신라모노그램 리조트가 문을 열 예정입니다. 여기에 바다 건너 전남 여수가 보이는 남면에도 고급 리조트가 추진되는등 숙박인프라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장충남 경남 남해군수/"명실공히 우리 남해군이 체류형 고급 휴양지로서 발돋움 하게 되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천혜의 바다에 인근 독일마을과 금산 보리암, 2027년에는 대관람차인 남해아이도 들어서 볼거리를 더합니다. 여기에 오는 2031년 남해여수해저터널까지 개통되면 남해안 관광벨트를 찾는 관광객들의 유입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영상편집 김범준
2025.07.04

고물가시대 못난이 과일 전성시대

<앵커> 폭염이나 태풍, 우박 등 기후 재난으로 인해 생육이 부진하거나 모양이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과일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못난이 과일이, 고물가시대에 가성비에 힘입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못난이 과일 전성시대,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거창군 산지 유통센터입니다. 저온창고에 저장했던 사과를 꺼내 세척한 뒤 당도 측정 등을 거쳐 크기별로 선별합니다. 여기서 선별되는 사과는 상처가 나거나 모양도 고르지 못한 일명 못난이 사과입니다.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착색이 덜되거나 크기가 작은 것들도 많습니다. {오승철/농업회사법인 열매나무 대표/"유통센터 쪽으로 입고되는 사과 중에 평균적으로 봤을때 한 40% 이상은 (못난이 사과가) 해마다 들어옵니다."} 당도를 재보니 14.8브릭스. A급 사과와 비교해도 별차이가 없는 고당도를 자랑하지만, 가격은 절반 정도 쌉니다. 올 상반기, 가성비를 내세운 거창 못난이 사과는 홈쇼핑 등을 통해 무려 1천 8백톤이 팔렸습니다. 경남 진주의 배영농조합에서는 못난이 배를 주스로 만들어 수출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호주 등 3개 나라에 12톤이 처음으로 수출됐습니다. {김보경/한국배영농조합 과장/"올해는 미국,호주 등 5개 나라에 약 50만불, 24톤 정도를 수출할 계획입니다."} 농가 입장에서는 폭염 등 기후재난으로 인해 못난이 과일이 늘어 걱정이 컸는데, 이제는 활용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조해숙/진주시 농업기술센터 소장/"맛이나 품질은 전혀 떨어지지 않아서 배 주스로 가공하여 판매하면 농가 소득을 올리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고물가 시대, 과일값이 금값이 되가고 있는 상황에서 못난이 과일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2025.07.03

밀양 36도 '찜통 더위', 폭염경보 확대

<앵커> 그야말로 뜨거운 여름이 시작됐습니다. 오늘(29) 경남 밀양의 낮 최고기온이 36도를 넘어서는 등 어제(28) 첫 발령된 폭염경보가 9개 시,군으로 확대됐는데요, 당분간 무더운 날씨가 예보되면서 온열질환은 물론 물놀이 사고에도 유의하셔야겠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마을 뒤 언덕이 온통 해바라기밭입니다. 해바라기 수십만송이가 만개하면서 장관을 연출합니다. 하지만 뜨거운 뙤약볕 아래, 양산이나 우산을 쓰지 않고서는 걸어다니기 힘들 정도입니다. 연신 부채질을 해봐도 더위를 피하기엔 역부족입니다. {모유진 윤승현/부산 수영구/"너무 더워요. 팔토시랑 양산이랑 다해도 너무 더워가지고 땀이 너무 나요.} 수백 kg에 달하는 슈퍼호박을 키우는 비닐하우스, 농민이 연신 물을 뿌리며 폭염과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양재명/경남 의령군/"너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온도도 낮추고 호박이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시로 물을 뿌려주고 있습니다."} 지금 비닐하우스 안 온도는 무려 40도에 육박합니다.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를 정도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호박잎도 더위를 견디지 못하고 말라가고 있습니다. 어제(28) 밀양 창녕에 이어 오늘(29)은 함안과 김해 등 경남 9개 시군으로 폭염경보가 확대됐습니다. 낮 최고기온은 밀양 36.6도, 양산 상북 35.7도 부산 금정구는 35도까지 올라갔습니다. 폭염과 함께 늘어나는 물놀이 사고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졌습니다. 어제(28) 낮 김해 대청계곡에서는 물놀이를 하던 중학생이 물에 빠지는 사고를 당해 의식이 없는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앞서 그제(27) 남해군 월포해수욕장 인근에선 혼자 카누를 타던 30대가 물에 빠져 숨지기도 했습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2025.06.29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