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도 6억 서울 대출 규제...지역 부동산에 유탄?
<앵커>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정부의 초강력 규제책 시행 이후 지역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다',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전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기자>
부산 수영구의 한 아파트 단지.
국민평형이라는 84㎡ 기준 평균 12억원 정도에 거래되는 곳입니다.
6억원 대출 한도 규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지 인근 부동산에 찾아가 봤습니다.
새 정부 출범 직후 거래 상승을 기대했지만 규제책 발표 뒤로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말합니다.
{김순경/공인중개사/" 아직까지 반응이 없어요. 문의 전화가 오고 있지 않고 조용하거든요."}
이번에는 원도심권으로 가봤습니다.
84㎡ 기준 5-6억원대에 거래되는 이 아파트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전셋집은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에 정부가 버팀목 전세 대출 등 정책 대출 한도를 줄이면서 전세대란이 빚어지는 모습입니다.
{공인중개사/"신생아 대출이나 신혼 대출이 4억 원까지 되던 것이 3억 원으로 줄어드는 바람에 그래도 여기 기본 전세가가 있는데 못 오시는 분들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죠."}
"가뜩이나 지역 부동산은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데, 이번 정부의 초강력 수도권 규제책으로 지역은 더 어려워지진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 한도 6억원 제한으로 서울도심15억원대 아파트 대신 시세차익 가능성이 있는 외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 수요가 부산이나 경남에도 올 것인가가 관심거리입니다.
전문가 전망도 다소 엇갈립니다.
{강정규/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일부 풍선 효과에 의해서 특정 인기 주거지역 몇 군데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는 최소한의 거래량이 늘어나는 반사이익도 일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서울만 지금 소위 똘똘한 한 채 효과 때문에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울 규제를 하니까 지방이 반사 효과로 풍선 효과로 조금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연결 시키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것이죠. "}
정부에서 항상 수도권 맞춤형 정책만 내놓다보니 지역은 그 불똥이 어떤식으로 튀게될지 일단 지켜봐야만 하는 답답한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성현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