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듣기
웰빙 라이프 오전 - 협심증에 대해 (김진희 / 부산의료원 심장내과 전문의)
등록일 : 2024-01-23 16:50:50.0
조회수 : 574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건강캐스터입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가 바로 심장과 관련한 질환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뤄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협심증은 겨울철 발병율이 더욱 높기 때문에 더 주의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웰빙 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 김진희 심장내과 전문의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심장내과 전문의 김진희입니다.
선생님, 협심증 하면 대표적인 심장질환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확히 어떤 질환인지 설명 부탁드려요.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 장기입니다. 이 근육을 먹여살리는데는 산소와 영양공급이 필요한데 이를 담당하는 3개의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이 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기는 경우를 협심증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경우 근육에 피가 안가서 허혈 증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협심증이라고 하는 거죠.
그렇군요. 이렇게 협심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뭔가요?
크게 3가지의 형태가 있습니다. 혈관이 좁아지는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가 진행해서 만성적으로 혈관 협착이 진행해서 막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두번째는 이 동맥경화가 진행된 게 파열이 되면서 혈전이 급격하게 쌓여서 100% 협착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이 동맥경화가 실제로는 많이 없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 연축해서 혈관내경이 좁아지는 경우입니다.
정상적인 경우에서는 혈관 안의 내피세포가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을 해줘야 되는데 이 기능이 손상이 되면 혈관의 막히는 과정이 가속화되게 됩니다. 이런데 일조하는 원인이 흡연, 고혈압, 당뇨, 그리고 가족력 등이 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주변에 협심증을 앓고 있는 분들을 보면 가슴통증이 심하고 식은땀과 호흡곤란까지 와서 정말 위험한 순간을 맞기도 하는데요. 협심증이 의심되는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증상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죠. 흉통이 그 대표적인 것인데요. 사실 우리나라사람, 특히 고령의 환자분들은 증상표현이 아주 다양하십니다. 쥐어짜는 흉통이라고 말씀하시는 환자 외에도 가슴이 쎄하다, 우리하다, 체한 것 같다, 속이 아프다 등등 전흉부 앞가슴에 불편한 모든 증상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흉통이 있으면서 어꺠, 팔로 퍼져나가는 방사통이 있어서 정형외과를 먼저 방문하시는 환자분들도 있고 목이 쪼이는 느낌이 있어서 이비인후과를 먼저 방문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운동이나 활동할 때 심해지면서 호흡곤란, 실신, 심정지로 병원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증상이 의심돼서 병원을 찾으면 어떻게 진단을 하게 되나요?
119로 신고하게 되면 순환기내과 혹은 종합병원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우선 오시게 되면 기본적으로 병력 청취라고 해서 질문을 먼저하게 됩니다. 증상이 어떤지를 들어보고 너무 전형적이면 강력하게 협심증을 의심하게 됩니다. 이것 외에도 위험인자에 어떤 것이 있는지 여러가지 질문을 하게 됩니다.
대부분 병원에서는 심전도와 흉부 엑스레이를 기본적으로 촬영을 해봅니다. 여기서 급성 심근경색이나 심장근육이 허혈이 되었다는 증거가 보이게 되면 심혈관조영술을 바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저희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많은 분들이 흉통으로 내원하시면 심장초음파를 해보고 싶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지 않고서는 초음파에서는 정상으로 나올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심전도를 부착한 뒤 운동부하검사라고 해서 러닝머신을 가볍게 뛰는 검사를 시켜보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협심증과 심부전증의 차이도 궁금합니다. 선생님.
심부전은 말그대로 심장의 기능부전이겠지요, 심부전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혈관의 폐색, 판막의 변화, 전기신호가 문제가 생기는 부정맥, 그리고 심장근육 자체가 늘어나거나 비대해서 생기는 이 모든 것들이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그 원인 중의 하나가 협심증인 거겠지요.
혈관의 폐색을 해결해 주지 않으면 근육이 괴사가 돼서 고유의 기능, 즉 짜내는 수축력을 잃게 됩니다. 이런 심부전을 허혈성심부전이라고 일컫습니다.
다만 심부전이 먼저 진단되면 가장 흔한 문제인 혈관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협심증 관련 검사를 하게 되고 이를 교정해주려는 노력을 제일 먼저 하게 됩니다.
알겠습니다. 오늘은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웰빙라이프. 지금까지 김진희 심장내과 전문의였습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가 바로 심장과 관련한 질환이라고 하는데요. 특히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뤄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협심증은 겨울철 발병율이 더욱 높기 때문에 더 주의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웰빙 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 김진희 심장내과 전문의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심장내과 전문의 김진희입니다.
선생님, 협심증 하면 대표적인 심장질환으로 알고 있는데요. 정확히 어떤 질환인지 설명 부탁드려요.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 장기입니다. 이 근육을 먹여살리는데는 산소와 영양공급이 필요한데 이를 담당하는 3개의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이 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기는 경우를 협심증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혈관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경우 근육에 피가 안가서 허혈 증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협심증이라고 하는 거죠.
그렇군요. 이렇게 협심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뭔가요?
크게 3가지의 형태가 있습니다. 혈관이 좁아지는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가 진행해서 만성적으로 혈관 협착이 진행해서 막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두번째는 이 동맥경화가 진행된 게 파열이 되면서 혈전이 급격하게 쌓여서 100% 협착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이 동맥경화가 실제로는 많이 없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 연축해서 혈관내경이 좁아지는 경우입니다.
정상적인 경우에서는 혈관 안의 내피세포가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을 해줘야 되는데 이 기능이 손상이 되면 혈관의 막히는 과정이 가속화되게 됩니다. 이런데 일조하는 원인이 흡연, 고혈압, 당뇨, 그리고 가족력 등이 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주변에 협심증을 앓고 있는 분들을 보면 가슴통증이 심하고 식은땀과 호흡곤란까지 와서 정말 위험한 순간을 맞기도 하는데요. 협심증이 의심되는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증상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죠. 흉통이 그 대표적인 것인데요. 사실 우리나라사람, 특히 고령의 환자분들은 증상표현이 아주 다양하십니다. 쥐어짜는 흉통이라고 말씀하시는 환자 외에도 가슴이 쎄하다, 우리하다, 체한 것 같다, 속이 아프다 등등 전흉부 앞가슴에 불편한 모든 증상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흉통이 있으면서 어꺠, 팔로 퍼져나가는 방사통이 있어서 정형외과를 먼저 방문하시는 환자분들도 있고 목이 쪼이는 느낌이 있어서 이비인후과를 먼저 방문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운동이나 활동할 때 심해지면서 호흡곤란, 실신, 심정지로 병원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증상이 의심돼서 병원을 찾으면 어떻게 진단을 하게 되나요?
119로 신고하게 되면 순환기내과 혹은 종합병원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우선 오시게 되면 기본적으로 병력 청취라고 해서 질문을 먼저하게 됩니다. 증상이 어떤지를 들어보고 너무 전형적이면 강력하게 협심증을 의심하게 됩니다. 이것 외에도 위험인자에 어떤 것이 있는지 여러가지 질문을 하게 됩니다.
대부분 병원에서는 심전도와 흉부 엑스레이를 기본적으로 촬영을 해봅니다. 여기서 급성 심근경색이나 심장근육이 허혈이 되었다는 증거가 보이게 되면 심혈관조영술을 바로 진행을 하게 됩니다.
저희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많은 분들이 흉통으로 내원하시면 심장초음파를 해보고 싶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협착이 상당히 진행되지 않고서는 초음파에서는 정상으로 나올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심전도를 부착한 뒤 운동부하검사라고 해서 러닝머신을 가볍게 뛰는 검사를 시켜보기도 합니다.
그렇군요. 협심증과 심부전증의 차이도 궁금합니다. 선생님.
심부전은 말그대로 심장의 기능부전이겠지요, 심부전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혈관의 폐색, 판막의 변화, 전기신호가 문제가 생기는 부정맥, 그리고 심장근육 자체가 늘어나거나 비대해서 생기는 이 모든 것들이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그 원인 중의 하나가 협심증인 거겠지요.
혈관의 폐색을 해결해 주지 않으면 근육이 괴사가 돼서 고유의 기능, 즉 짜내는 수축력을 잃게 됩니다. 이런 심부전을 허혈성심부전이라고 일컫습니다.
다만 심부전이 먼저 진단되면 가장 흔한 문제인 혈관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협심증 관련 검사를 하게 되고 이를 교정해주려는 노력을 제일 먼저 하게 됩니다.
알겠습니다. 오늘은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웰빙라이프. 지금까지 김진희 심장내과 전문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