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조선통신사 위대한 유산
토요일 오전 9시
TV
종영

다시보기

新조선통신사 위대한 유산 - 5부 김명국 <달마도>

등록일 : 2024-04-29 17:25:37.0
조회수 : 534
-연담 김명국.
김명국이라고 하면 사람들이 그 호인 연담이나 취옹에 대해서 많이 아실 만큼
기이한 행동을 한 화가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당시에 천인 출신이었는데 도화서 교수까지 올라갔던 화가입니다.
그만큼 그림 실력이 뛰어났다는 거죠.
거칠고 신비한 선인도, 달마도와 같은 그림을 많이 남긴 화가입니다.
1636년에 김명국의 직위는 도화서의 교수였습니다.
가장 전성기에 그러니까 일본에 간 거겠죠.
1636년 이후 1643년 갔을 때 통신사 절목을 보면
일본 측에서 꼭 김명국을 와 달라고 요청한 게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 두 명의 화원이 간 경우가 그 1643년 통신사 행렬에서만 유일했습니다.
그리고 일본 사람들은 그 시기에 선종화에 대한 관심과 예우가 높았습니다.
김명국이 그들의 취향에 딱 맞게 됩니다.
그러면서 김명국의 이런 필 선은 정말 신묘하다, 한 조각이라도 얻고 싶다.
소문에 소문을 더하면서 많은 일본인이 그의 그림을 얻고자 했습니다.
밤새도록 너무 서화 요청이 많아서 고통스러워서 김명국이 울었다고 적혀 있거든요.
그만큼 김명국이 조선통신사로서 화원이 할 수 있는 최대의 역할을 다했습니다.
즉, 일본의 관료들이랑 중인, 상인들이 원했던 그림들을 모두 그려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조선통신사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하는 것에는 크게 두 가지로 보고 있는데
하나는 외교적인 측면하고 하나는 문화적인 측면을 나눠서 보고 있습니다.
조선통신사를 문화 교류로 칭하는 것은 1636년 병자통신사 수행 화원 김명국부터입니다.
명국이 통신사를 따라서 일본에 갔더니 온 나라가 물결 일 듯 떠들썩하여
명국의 그림이라면 한 조각의 종이도 큰 구슬을 얻은 것처럼 여겼다.
그 당시에 한류의 붐을 일으켰던 장본인이라 볼 수 있는 그런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김명국이 일본에 그려 남긴 그림들은 거친 필치로 흑백 대비가
굉장히 심한 묵법을 사용하고 감필이 특징입니다.
먹을 잠깐 묻혀서 일 필에, 단필에 그렸던, 그게 바로 김명국의 그림이었기 때문에
굉장히 일본인들을 매료시킬 수밖에 없었다 볼 수 있습니다.
붓을 이 자루, 저 자루 들고 그린 것이 아니고 붓 한 자루를 들고
일본의 문사들 다 있는 앞에서 일필휘지로 그림을 그린 겁니다.
그걸 눈앞에서 생생하게 펼쳐졌다 생각해 보십시오.
눈을 떼지 못한 공연도 아니고 굉장했을 겁니다, 이 퍼포먼스 자체는.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그림이 바로 병자통신사 때 그렸던 달마도가
대표적이라 볼 수 있는데 달마의 눈썹에서 첫 붓질이 시작되어서
얼굴 표현부터 흘러내리는 눈, 코, 입과 머리 두건부터
또 가사부터 그런 표현과 얼굴은 연한 담묵을 사용해서 그리고.
또 수염을 제외하면 총 30획 정도의 붓질로 얼굴을 그려내었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느껴질 정도로 굉장히 감필하게 그림을 그려서
김명국의 실력이 그대로 화선지 한 장에 다 보이는 그런 작품이 되겠습니다.
또 하나가 구성 면에서는 비율이 되게 탁월하게 보이는데
위의 상단 부분은 화제를 받을 것을 생각해서 비워두고.
그리고 중단과 하단을 통해서 그림을 그리고 일본의 문사가 여기다 화제를 쓸 것을 기대했겠죠.
그러면서 어쩌면 그림 한 장으로 인해서
조선인과 일본 문사들이 문화 교류를 펼치게 한 장본인이기도 합니다.
그림 상단이 비어 있는 그의 작품은 단순하게 보이지만
이건 놀라운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실로 문화 교류의 장이 그로 인해 시작됐고
또 완성시킨 업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