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라이프 오후 -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해 (손호진 / 부산부민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등록일 : 2023-04-05 13:54:12.0
조회수 : 339
부산 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의 조문경건강캐스터입니다.
KNN 웰빙 라이프 오늘 이 시간에는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에 손호진 소화기내과 전문의입니다. 반갑습니다.

반갑습니다. 소화기내과 전문의 손호진입니다.

그냥 소화불량이 아니라 기능성 소화불량은 정확히 어떤 질환인가요?

기능성 소화불량은 통증이나 불쾌감이 생겨 내시경검사 등을 받아도 특별한 병이 발견되지 않은 사람이 소화불량에 만성적으로 시달리면 ‘기능성 소화불량’이라고 합니다. 전체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겪을 정도로 흔한데요. 증상이 만성적으로 6개월 이전에 발생해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진단하는데, 환자 나이와 동반 기저 질환 등을 토대로 추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일종에 만성 소화불량을 기능성 소화불량이라고 하는군요. 그렇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에 걸렸을 때 주로 어떤 증상들이 나타나나요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은 상복부 통증 증후군과 식후 불편감 증후군 등입니다. 상복부 통증 증후군은 상복부에 무언가 찌르는 듯한 통증과 타는 듯한 속 쓰림 등이 나타납니다.
식후 불편감 증후군은 식후 위 내에 음식이 묵직하게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은 불편한 식후 포만감, 조금만 먹어도 배가 꽉 찬 느낌인 조기 만복감, 상복부 팽만, 오심 등이 나타납니다.

이렇게 소화불량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정상인들 가운데 포만감이나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양을 먹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위의 압박감이나 팽창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 위장의 팽창에 대한 과민성이 있다고 하며, 기능성 소화불량의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 위산, 식이, 면역, 만성 십이지장 염증, 장내 세균, 만성 스트레스, 기타 유전·환경적 요인이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깁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이 생기는 이유가 참 다양하네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받았을 때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 주세요

소화불량이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하는데요. 치료제의 경우, 소화관의 운동이나 위장의 음식 수용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소화관 운동기능 촉진제를 사용합니다. 위산과다와 연관된 속쓰림이나 명치 통증에는 위산분비 억제제, 점막의 염증으로 인한 불편감에는 점막보호제가 사용됩니다. 뇌와의 상호작용 불균형이나 자율신경계의 부조화 등이 문제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는 신경조절제를 투여합니다.
이렇게 치료약제가 다양한 이유는 소화불량의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인데요. 또 대부분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여러 약제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환자 치료 경험이 많고 소화기 기능질환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것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알겠습니다. 오늘은 기능성소화불량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부산경남 8백만 청취자들의 라디오 주치의, KNN웰빙라이프 지금까지 손호진 소화기내과 전문의였습니다.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