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그림찾기
지역미술발굴 프로젝트 '숨은그림찾기' - 패브릭 드로잉 '설치미술, 한경희 작가'
등록일 : 2022-11-24 13:39:08.0
조회수 : 101
-안녕하세요, 지역 예술인을 만나보는
숨은그림찾기 이해리입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의 감정을 다양한
시각으로 표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를
만나러 왔는데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새로운 현대미술의
세계로 떠나보실까요?
-(해설) 우리 지역의 숨은 예술인을 찾는
숨은그림찾기.
오늘은 실과 바늘, 천 조각 등의 패브릭
드로잉 기법을 사용해 보이지 않는
감정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는
설치미술가 한경희 작가를 찾아갔는데요.
얽히고 설킨 고리 같은 형상으로 우리네
삶의 다양한 관계를 형상화하는 한경희
작가의 작품 이야기를 살펴봅니다.
-작가님, 안녕하세요?
오랜 시간 우리 지역에서 활동을
해오고 계시는데 처음에는 동양화로
입문을 하셨는데 지금은 설치 작품까지
정말 다양하게 활동을 하고 계세요.
계기가 궁금한데요.
그 계기로 설치 미술, 조각 퍼포먼스를
하게 된 동기인 것 같아요.
-근데 사실 수많은 재료들이 있잖아요.
그중에서 패브릭을 선택하신 데는 큰
이유가 있을 것 같아요.
어떤 매력이라든지요.
-패브릭을 처음 만나게 된 동기는 아마
동물의 꼬리를 만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이 됐던 것 같아요.
그때부터 패브릭이랑 많은 대화를
나눴고 그냥 자연스럽게 굉장히 그
천이라는 것을 친하게 되면서 계속
사용하게 됐던 것 같아요.
-이 작품을 보면 지금 천으로 만든
작품인 것 같은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인가요?
-이 작품은 제가 미국에서 온 지 얼마
안 된 2010년도에 만들어진 작품인데요.
미국에서 한 10년 동안 있다가 여기에
오니까 언어도 너무 많이 달라지고
나이가 또 그만큼 든 상태에서
친구들과의 대화가 굉장히 어렵고
혼란스러웠어요.
그때 어떤 심정을 반영했던 것 같아요.
어떤 나의 하나의 개체이지만 어떤 여러
사람과 얘기를 나누고 싶고 소통하고
싶고 또 다른 사람들과 어떤 연결고리를
만들어 가고 싶어 하는 그런 마음들이
한꺼번에 그냥 밀려왔던 것 같아요.
결국에는 저는 믿어요.
하나씩 하나씩 어떻게 풀어나가는 어떤
그런 시간을 가지게 될 거라는 거를.
-(해설) 한경희 작가의 작품을 보면 천을
감은 디자인 요소들은 다른 생각과
의견으로 뒤범벅이 된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드러내고 있는데요.
설치미술이지만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생각을 하며 오늘도 새로운 감정들을
만들어 나아가고 있습니다.
-작가님의 작품은 딱 뚜렷한 색깔이
있기 때문에 많은 분이 좋아해 주시는
것 같은데 그중에서 하나가 지금 이
드로잉 볼인데요.
이 작품을 기획하게 된 계기가 또
궁금하네요.
-자연에서 바람에 의해서 선이
그려지잖아요.
그리고 파도에 의해서 이렇게 선이
그려지고, 그 선들을 다 연결해요.
이 선들도 굉장히 다 연결한
선들이거든요.
그 선들이 모여서 볼을 만들어서 그걸
드로잉하면 굉장히 재밌겠다는 생각을
한 거예요.
그리고 그 드로잉 한 것을 층이 생겨서
막 이렇게 쌓일 거 아니에요, 이게
입체다 보니까.
쌓이면 그 위에서 누워서 추억을
소환한다든가 어떤 상상의 나래에 있는
그런 걸 연출해보고 싶었어요.
-작가님의 작품활동을 보면 그냥 보는
작품이 아니라 직접 참여하는 이런
연출이 많은 것 같아요.
이런 설치 작품은 어디서 아이디어를
얻는지 궁금한데요.
-국제아트페어라는 걸 울산에서 한 번
한 적이 있어요, 태화강에서.
여러 작가 선생님들의 작품들이 놓여
있는데 유독 제 작품이 막 망가져 있는
거예요, 굉장히 많이.
좀 속상했었는데 그 기획하시는 분이
하는 얘기가 작가님의 작품이 호기심이
있으니까 만져보고 싶어 하고 작가님의
어떤 색깔이라든지 표현력이 굉장히
사람들한테 즐겁게 해주는 것 같다고
그렇게 얘기하시더라고요.
그때 좀 알았어요.
그냥 보여지는 그런 미술은
이제 그만.
좀 미숙하지만 그들과 함께 무언가
만들어 가고 연출해나가는 그런 작품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좀 많이 하게
된 동기, 계기가 됐죠, 저한테는.
-(해설) 오감을 충족시키는 작품들로
감정의 즉흥성을 드러내고 있는
한경희 작가.
소박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가시적인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기호들로 이루어진 제3의 공간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직접 일일이 이렇게 다 작업을 하셔서
뒤집어서 또 솜도 넣고 연결도 시키시고
어떻게 보면 그냥 미술 작업하시는 것
보다 훨씬 노력이 두 배, 세 배 들 것
같은데 하시다가 힘들었던 순간도 있을
것 같아요.
-진짜 천과 바느질의 과정은 엄청난
시간을 많이 요구하더라고요.
그니까 아침에 제가 작업실에 한 10시에
오면 저녁 10시, 저녁 10시 돼서
신체적인 고통에 약간 굳어가는 그런
생각도 좀 들 때가 있어요.
그렇지만 제가 제 손으로 만들어서
형태가 이루어져서 있으면 또 위로가
되고 그래서 또 신나게 만들어가고.
매일같이 그렇게 반복된 시간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해설) 한경희 작가는 색색의 천을 길게
박음질해 그 속에 솜을 밀어 넣어 긴
형태의 천 막대를 제작하고 그것을
고리로 연결하거나 새로운 형태로
오리고 이어 붙여 작품을 완성하고
있는데요.
패브릭을 통해 사람과 사람, 자신과
타인의 관계성 등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힘들고 비생산적인 이런 작업을 하다
보니까 좋을 때보다는 힘든 고비들이
굉장히 많은데 그림이 나에게 딱
맞닥뜨려주고 진솔하게 나에게
다가오니까 한 번 생각하게 해주고 또 한
번 생각하게끔 해주고 묵묵히 걸어갈 수
있게끔 해주는 것 같아요.
앞으로 저는 아마 계속해서 많은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그런 전시를 꾸준히
해나갈 거고 그 속에서 저도 용기를
내서 좀 더 과감하게 소통을 해보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해설) 무의식적 의도들이 담긴 패브릭
드로잉 작품에 각양각색의 감정을
덧입혀 자유로운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
언제나 실험적인 작품으로 우리네
인생에 다양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의 활동을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숨은그림찾기 이해리입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의 감정을 다양한
시각으로 표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를
만나러 왔는데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새로운 현대미술의
세계로 떠나보실까요?
-(해설) 우리 지역의 숨은 예술인을 찾는
숨은그림찾기.
오늘은 실과 바늘, 천 조각 등의 패브릭
드로잉 기법을 사용해 보이지 않는
감정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는
설치미술가 한경희 작가를 찾아갔는데요.
얽히고 설킨 고리 같은 형상으로 우리네
삶의 다양한 관계를 형상화하는 한경희
작가의 작품 이야기를 살펴봅니다.
-작가님, 안녕하세요?
오랜 시간 우리 지역에서 활동을
해오고 계시는데 처음에는 동양화로
입문을 하셨는데 지금은 설치 작품까지
정말 다양하게 활동을 하고 계세요.
계기가 궁금한데요.
그 계기로 설치 미술, 조각 퍼포먼스를
하게 된 동기인 것 같아요.
-근데 사실 수많은 재료들이 있잖아요.
그중에서 패브릭을 선택하신 데는 큰
이유가 있을 것 같아요.
어떤 매력이라든지요.
-패브릭을 처음 만나게 된 동기는 아마
동물의 꼬리를 만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이 됐던 것 같아요.
그때부터 패브릭이랑 많은 대화를
나눴고 그냥 자연스럽게 굉장히 그
천이라는 것을 친하게 되면서 계속
사용하게 됐던 것 같아요.
-이 작품을 보면 지금 천으로 만든
작품인 것 같은데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인가요?
-이 작품은 제가 미국에서 온 지 얼마
안 된 2010년도에 만들어진 작품인데요.
미국에서 한 10년 동안 있다가 여기에
오니까 언어도 너무 많이 달라지고
나이가 또 그만큼 든 상태에서
친구들과의 대화가 굉장히 어렵고
혼란스러웠어요.
그때 어떤 심정을 반영했던 것 같아요.
어떤 나의 하나의 개체이지만 어떤 여러
사람과 얘기를 나누고 싶고 소통하고
싶고 또 다른 사람들과 어떤 연결고리를
만들어 가고 싶어 하는 그런 마음들이
한꺼번에 그냥 밀려왔던 것 같아요.
결국에는 저는 믿어요.
하나씩 하나씩 어떻게 풀어나가는 어떤
그런 시간을 가지게 될 거라는 거를.
-(해설) 한경희 작가의 작품을 보면 천을
감은 디자인 요소들은 다른 생각과
의견으로 뒤범벅이 된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드러내고 있는데요.
설치미술이지만 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생각을 하며 오늘도 새로운 감정들을
만들어 나아가고 있습니다.
-작가님의 작품은 딱 뚜렷한 색깔이
있기 때문에 많은 분이 좋아해 주시는
것 같은데 그중에서 하나가 지금 이
드로잉 볼인데요.
이 작품을 기획하게 된 계기가 또
궁금하네요.
-자연에서 바람에 의해서 선이
그려지잖아요.
그리고 파도에 의해서 이렇게 선이
그려지고, 그 선들을 다 연결해요.
이 선들도 굉장히 다 연결한
선들이거든요.
그 선들이 모여서 볼을 만들어서 그걸
드로잉하면 굉장히 재밌겠다는 생각을
한 거예요.
그리고 그 드로잉 한 것을 층이 생겨서
막 이렇게 쌓일 거 아니에요, 이게
입체다 보니까.
쌓이면 그 위에서 누워서 추억을
소환한다든가 어떤 상상의 나래에 있는
그런 걸 연출해보고 싶었어요.
-작가님의 작품활동을 보면 그냥 보는
작품이 아니라 직접 참여하는 이런
연출이 많은 것 같아요.
이런 설치 작품은 어디서 아이디어를
얻는지 궁금한데요.
-국제아트페어라는 걸 울산에서 한 번
한 적이 있어요, 태화강에서.
여러 작가 선생님들의 작품들이 놓여
있는데 유독 제 작품이 막 망가져 있는
거예요, 굉장히 많이.
좀 속상했었는데 그 기획하시는 분이
하는 얘기가 작가님의 작품이 호기심이
있으니까 만져보고 싶어 하고 작가님의
어떤 색깔이라든지 표현력이 굉장히
사람들한테 즐겁게 해주는 것 같다고
그렇게 얘기하시더라고요.
그때 좀 알았어요.
그냥 보여지는 그런 미술은
이제 그만.
좀 미숙하지만 그들과 함께 무언가
만들어 가고 연출해나가는 그런 작품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좀 많이 하게
된 동기, 계기가 됐죠, 저한테는.
-(해설) 오감을 충족시키는 작품들로
감정의 즉흥성을 드러내고 있는
한경희 작가.
소박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며
가시적인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기호들로 이루어진 제3의 공간을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직접 일일이 이렇게 다 작업을 하셔서
뒤집어서 또 솜도 넣고 연결도 시키시고
어떻게 보면 그냥 미술 작업하시는 것
보다 훨씬 노력이 두 배, 세 배 들 것
같은데 하시다가 힘들었던 순간도 있을
것 같아요.
-진짜 천과 바느질의 과정은 엄청난
시간을 많이 요구하더라고요.
그니까 아침에 제가 작업실에 한 10시에
오면 저녁 10시, 저녁 10시 돼서
신체적인 고통에 약간 굳어가는 그런
생각도 좀 들 때가 있어요.
그렇지만 제가 제 손으로 만들어서
형태가 이루어져서 있으면 또 위로가
되고 그래서 또 신나게 만들어가고.
매일같이 그렇게 반복된 시간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해설) 한경희 작가는 색색의 천을 길게
박음질해 그 속에 솜을 밀어 넣어 긴
형태의 천 막대를 제작하고 그것을
고리로 연결하거나 새로운 형태로
오리고 이어 붙여 작품을 완성하고
있는데요.
패브릭을 통해 사람과 사람, 자신과
타인의 관계성 등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힘들고 비생산적인 이런 작업을 하다
보니까 좋을 때보다는 힘든 고비들이
굉장히 많은데 그림이 나에게 딱
맞닥뜨려주고 진솔하게 나에게
다가오니까 한 번 생각하게 해주고 또 한
번 생각하게끔 해주고 묵묵히 걸어갈 수
있게끔 해주는 것 같아요.
앞으로 저는 아마 계속해서 많은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그런 전시를 꾸준히
해나갈 거고 그 속에서 저도 용기를
내서 좀 더 과감하게 소통을 해보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해설) 무의식적 의도들이 담긴 패브릭
드로잉 작품에 각양각색의 감정을
덧입혀 자유로운 예술성을 표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
언제나 실험적인 작품으로 우리네
인생에 다양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한경희 작가의 활동을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